광고
광고
경제
소비자경제
프랜차이즈 난립의 폐해, 직영점 운영 의무화 방안으로 해결해야
김은영 기자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기사입력: 2019/11/29 [10:29]  최종편집: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 프랜차이즈 난립의 폐해, 직영점 운영 의무화 방안으로 해결해야     ©


[더데일리뉴스] 사업성에 대한 검증없이 프랜차이즈가 무분별하게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을지로 위원회와3개 정부부처(공정거래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가 가맹사업 1+1 제도의 도입을 추진한다.


가맹사업 1+1제도란 가맹본부가 최소 1개 점포를 1년 이상 직접 운영한 뒤 가맹점을 모집할 수 있게 하는 제도이다. 이번 조치는 대왕 카스테라, 저가 커피 등 유행 따라 난립한 브랜드에 투자한 가맹점주의 피해가 속출하는 등 직영점 운영 경험이 부족한 '미투(me too)' 브랜드의 프랜차이즈로 인한 폐해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한편, 직영점을 많이 운영하며 시장 경험을 쌓은 가망본부일수록 가맹점 매출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한국개발연구원(KDI) 시장정책 연구부 연구위원이 발표한 '가맹계약과 가맹사업 시장제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프랜차이즈 점포 중 직영점 비율이 1%포인트가 상승할 때마다 가맹점별 연 매출액은 평균 147만원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가맹본부가 직영점을 운영하면서 상품, 서비스의 시장성을 직접 검증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 가맹점주에게 전이되는 위험과 부담을 줄이는 것으로 분석했다.


직영점 확장을 통해 시장에서 성공한 브랜드 중에는 수제맥주 프랜차이즈 생활맥주가 있다. 2014년에 론칭한 이후, 생활맥주는 가맹점 개설 수익에 의존하는 대신 직영점 확장으로 브랜드를 탄탄하게 성장시키는 전략을 수립하였다. 매해 적극적으로 직영점을 늘려 현재 21개의 직영점을 운영하고 있다. 생활맥주는 신규 메뉴나 서비스를 가맹점에 도입하기 전 직영점에서 충분한 테스트를 거치는 등 직영점 운영을 통해 얻은 노하우를 가맹점주와 공유하고 있다. 직영점 확장 전략의 결과, 전국 매장 수 200여개, 매출액 500억원을 달성하였다.


직영점 운영을 통해 성공한 다른 브랜드로는 '할리스 커피'가 있다. 해당 브랜드는 지난 2013년 IMM PE에 인수된 후부터 지역 거점의 대형 직영점 체계로 전환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2016년 종로거리의 랜드마크로 인식됐던 맥도날드 자리에 건물 전체를 직영점으로 만들어 오픈하였다. 이와 함께 이태원, 가로수길 등의 주요 상권에 대형 직영점을 운영하며 브랜드 노출을 극대화하였다. 주요 상권에 직영점을 운영하며 브랜드의 제고를 높인 것은 가맹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그 결과, 국내 커피 토종 브랜드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과는 반대로 2014년 803억원이었던 본사 매출은 2018년 1549억원으로 급성장했다.


가맹사업 1+1 제도 도입 이외에도, 정부에서 발표한 이번 방안에는 예비 창업자 대상 정보제공 확대, 광고/판촉비 부담 완화 등 가맹점주의 경영 여건을 개선하기 위한 가맹본부의 의무 이행 사항이 포함되어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 더데일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동
메인사진
[전남도] 프랑스 수출시장 두드린다
  • 썸네일
  • 썸네일
  • 썸네일
최근 인기기사
광고
광고